2.1.1.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본원칙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은 방사선을 적절히 차폐하여 방사선에 의한 외부 또는 내부 피폭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원자력 발전소 설계 단계에서 부터 운영 까지 설계원리(다중성, 다양성, 독립성 등), 심층방어 원리, 안전문화 등을 통하여 발전소의 안전을 확보한다.
이중 설계원리, 심층방어 원리는 2.1.2절과 2.1.3절에서 다루도록 하고 2.1.1절에서는 원자력안전문화에 대해서 설명한다.
■ INSAG-4
1979년 미국의 TMI(Three Mile Island) 사고, 1986년 구소련의 체르노빌 사고, 2011년 후쿠시만 사고는 원자력 발전소 안전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가져왔다.
체르노빌 사고 이후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국제원자력안전자문그룹(INSAG, International Nuclear Safety Advisory Group)이 'INSAG-1' 보고서를 발행하며 최초로 안전문화라는 개념을 설명하였다.
이후 1991년 IAEA는 그림 1과 같은 'INSAG-4' 보고서에서 원자력안전문화 개념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였다
원자력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개인과 조직의 태도 및 의식의 결집체
그리고 안전문화의 구성요소를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1) 정책의 임무(Requirement at Policy Level)
2) 관리자의 임무(Requirement at Managers)
3) 개인의 임무(Response of Individuals) : 개인은 발전소 종사자(staff)를 말한다.
그림 1. INSAG-4
(INSAG-4는 구글 검색에서 쉽게 찾을 수 있고 총 페이지 수가 30페이지 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여유 시간이 있다면 가볍게 읽어보길 권장한다.)
그리고 미국원자력발전협회(INPO : Institute of Nuclear Power Operations) 또한 2004년 다음과 같은 ‘좋은 안전문화를 위한 원칙’을 제안하였다.
1. 누구나 개인적으로 원자력안전에 대한 책임감을 갖는다 .
2. 지도자가 안전에 대한 의지를 보여준다.
3. 조직에 신뢰가 스며들어야 한다.
4. 의사결정에 안전성 최우선의 정신을 반영한다.
5. 원자력 기술이 특별하며 독특함이 인지되어야 한다.
6. 의문을 제기하는 태도가 배양되어야 한다.
7. 조직 학습이 포함되어야 한다.
8. 원자력 안전은 항상 검증을 받아야 한다.
■ 원자력안전문화
해외의 원자력 안전문화와 더불어 국내 한수원은 미국원자력발전협회(INPO)의 안전문화를 벤치마킹하여 원자력안전문화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국민의 생명과 환경 보존을 위해 원자력 안전을 어떠한 목표보다 우선시하는
조직 구성원들의 핵심가치와 행동
즉 원자력 안전문화는 설계 측면보다 구성원들이 가져야 하는 태도 및 행동을 말한다.
안전문화에는 8대 원칙, 32개 속성 및 3개 분야에 대한 원자력 안전문화 10개 구성요소가 있다.
원자력 안전문화 8대 원칙은 그림 2와 같다.
그림 2. 한수원의 원자력 안전문화 8대 원칙
원자력기사 기출문제에서는 안전문화의 8대 원칙 중 몇개의 원칙을 물어보는 문제가 출제된 만큼 각 원칙을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원자력 안전문화 구성요소는 그림 3과 같이 관리자, 관리시스템, 종사자로 구성된다.
각 3개 분야(관리자, 관리시스템, 종사자)의 안전문화는 다시 10개의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3. 한수원의 원자력 안전문화 구성요소
예제1 (2014년 원자력기사 기출)
원자력 안전문화에 대한 설명중 거리가 먼 것은?
① 안전에 대한 책임은 발전소장에게 있다.
② 종사자는 운전과 절차에 대해 항상 의문을 갖는 태도를 가진다
③ 어떠한 일이 있어도 해당 절차서를 준수한다.
④ 안전과 관련된 제안 또는 제의는 언제든지 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 ①
원자력 안전에 책임은 모든 종사자에게 있다.
예제2 (2016년 원자력기사 기출)
원자력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개인과 조직의 태도 및 의식의 결집체를 원자력안전문화(IAEA INSAG-4,1991)라 한다. 다음중 원자력 안전문화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국민의 임무
② 관리자의 임무
③ 종사자의 임무
④ 정책자원의 임무
정답 ①
INSAG-4에서 말하는 원자력 안전문화 구성요소는 관리자 임무, 정책 임무, 종사자 임무로 구성된다.
예제3 (2018년 원자력기사 기출)
원자력 안전문화(IAEA INSAG-4, 1991)의 구성요소는 정책, 관리자 및 개인 차원의 3가지 이다. 다음중 개인 차원의 세부적이 요소로 틀린 것은?
① 의문을 제기하는 태도
② 정확하고 신중한 업무 접근 방법
③ 안전업무 규정 및 관리
④ 커뮤지케이션
정답 ④
안전업무 규정 및 관리의 업무는 관리자 차원의 세부적인 요소에 포함된다.
'원자로운전과 안전 > 사고해석 및 안정성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4 다중방벽 (3) | 2020.12.03 |
---|---|
2.1.3 심층방어 원리(2) [원자력기사] (0) | 2020.12.02 |
2.1.3 심층방어 원리 (1) [원자력기사] (0) | 2020.11.29 |
2.1.2 설계원리(다중성, 다양성, 독립성 등)[원자력기사] (0) | 2020.11.23 |